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암기 잘하는 방법

by 정보나누미미❤️ 2022. 3. 31.
728x90
반응형

암기 잘하는 방법

공부 과정

한 장의 내용을 처음부터 무작정 읽기 시작하기 전에 우선 전체 장의 구성을 훑어보는 것이 좋다. 전체장이 어떤 하위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락의 제목은 무엇이고, 다시 어떤 하위 문단들로 나눠져 있고 그 문단에 붙여진 소제목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 전체 구조를 노트에 다시 한번 적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공부할 내용이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지, 공부할 내용이 각기 어떤 부분에 들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일종의 틀을 만드는 작업이다. 아울러 책장을 넘기며, 재미있어 보이거나 관심을 끄는 그림, 도표 등도 보는것도 좋다. 나중에 정독을 할 것이기에 이해가 안 돼도 상관없다 

 

공부를 못하는 사람들은 암기를 이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구잡이로 공부하는 것으로 차 각하는데, 이해하지 않으면 암기할수 없고, 암기하지 않은 것은 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니다. 이해와 암기는 함께 하는 개념이다. 암기와 이해에 대해 인지심리학적인 이야기를 해보자. 먼저 기억의 단계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있다. 감감 기억은 감각기관에서 아주 짧으느 시간 동안 보유하고 있는 기억이다. 단기기억은 인간의 의식 속에서 아주 짫은 시간동안 유지되는 기억이다. 작업기억은 문제해결을 하는 동안 유지되는기억이고 단기기억과 구분되는 경우도 있고, 동일하게 여겨지기도한다. 장기기억은 인간의 의식속에서 장시간 유지되는 기억이다. 마구잡이로 외우는 암기는 단기 기억 단계에서 소멸한다. 시험 전날 벼락치기한 지식은 평생 가지 않는단 의미이다. 이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보내려면 반드시 이해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제대로 이해와 암기를 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외운 것을 남들 앞에서 직접 말해보거나 직접 글을 쓰는 것이 확실하다 특히 말로 하는 것이 더 나은데 언어 행위 자체가 굉장히 고도의 사고력을 요구하여 말로 외는 과정에서 그 내용이 장기 기억으로 전이되는 과정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이다. 

 

꼼꼼히 문장 하나하나를 읽으며, 훑어보면서 생겼던 의문의 답을 찾도록 한다. 그리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표시를 하고 한 문단 읽기를 마친후에는 그 문단의 요지를 한두 문장으로 다시 요약해 책 옆 공간이나 노트에 적어본다. 이 세 과정은 말하자면 자신의 이해를 점검하며 읽기를 하라는 것이다. 특히 핵심 요지를 쓸 수 없다면, 이해에 실패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과서 읽기 전후에 강의나 수업을 듣는 것이 보통이기에, 수업 내용과 책 읽는 내용을 연결시키도록 한다. 자신이 요약했던 노트와 강의 노트를 합쳐 새롭게 내용을 구성하면 금상첨화이다.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암기와 이해는 학술적인 정의와 조금 다르다. 이때의 이해란, 개념의 정의, 문장의 놀리 구조, 문장에 관련된 문맥 등을 모두 알고 있는 것이다. 반면 암기란 이러한 요소들을 무시하고 구구절절 외우는 것이다. 통암기법에 의하면, 통으로 암기하는 과정에서 이해도 도금씩 된다고 한다. 암기하기 위해서 책을 반복적으로 회독하고, 쉽게 외우기 위해 강의를 찾아보는 과정에서 이해도 함께 하게 된다. 그리고 문제집에 나오는 문제들을 풀기 위해 암기한 지식들을 꺼내 쓰면서 기억이 점점 정교화된다. 결국 암기를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이해하게 된다. 

반응형

댓글